앱스토어 랭킹은 어떻게 결정되는 것이 좋을까? (,구글플레이,티스토어의 관점에서…)
최근 티스토어 랭킹산정방식 이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티스토어는 앱스토어나 구글처럼 많은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는 고도화된 플랫폼이 아닌 관계로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궁금했었는데요, 기존과 방법은 같고 기간과 가중치를 조합하여 나누기를 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랭킹을 어떻게 산정하는지는 당연히 마켓 운영사가 가지고 있는 권리라고 보여지기는 하는데요, Grossing의 경우 매출이라는 매우 분명한 원칙이 있으나 무료서비스의 경우 그래도 많은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어느 정도 객관적인 기준 및 실제 랭킹이 시장을 반영하고 있어야 할 것으로 저희는 생각합니다. 사실 저는 티스토어나 iOS의 앱스토어 보다는 구글의 방식을 지지합니다. 가볍게 봐주시기를 바랍니다.
왜 구글을 지지하는가 하면 그냥 순위가 현재의 대한민국의 진짜 순위를 반영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냥 아주 간단하게 상식적으로만 생각을 하여도 하면, 인기무료어플은 국내에서 가장 인기가 있고 많이 사용되어야 하는 어플이 되어야 할 것 같고요 이거 하나만 보아도 구글플레이/앱스토어/티스토어가 무료인기순위 랭킹 철학의 차이는 분명이 나타납니다.
제 생각에는 국내에서 현재 기준으로 가장 인기 있는 어플은 아무래도 현재는 캔디팡,애니팡,유투브,카카오톡,네이버,카카오스토리 그런 것 같은데요, 마이스마트콜, 모바일 티월드, 스마트청구서 등이 국내에서 현재 가장 인기있는 앱은 아니겠지요?
물론 카카오게임이라는 신기한 현상을 단기적 현상으로 보고 카카오게임 관련 앱을 제외를 하더하도, 누가 정확하게 전체무료인기앱을 반영하고 있는지는 여러분이 판단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신규로 나오는 서비스들에게는 노출의 기회가 자체가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을 수 있는데요, 티스토어와 앱스토어는 신규로 출시된 앱을 시차적인 순서로 보여주는 반면, 구글 스토어는 출시 4주 이내 서비스끼리 경쟁을 할 수 있는 노출의 창으로 신규무료인기앱 창이 있습니다. 앱스토어나 티스토어의 경우 신규앱을 출시하고 다른 신규앱이 많이 출시되면 노출에서 사라지는 리스크가 있는 반면, 구글은 잘 못 하면 노출의 기회 조차 전혀 없이 앱이 사라지는 리스크가 있습니다. 대신 신규인기무료앱은 신규앱간의 경쟁이라서 상대적으로 노출이 수월합니다. 신규무료앱의 노출방식을 보아도 구글 랭킹이 더 합리적으로 저희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구글플레이의 경우, 개발사에 사전 통보없이 앱을 바로 삭제하기도 별도 사전 설명 없이 변경도 마음대로 하는 등 개발사를 배려하지 아니하는 행태가 많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전체적으로 큰 줄기를 잡고 나가기 때문에 최근 많이 공감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최근 카카오게임이 구글 플레이에 확산에 영향을 많이 주었고, 결제 부분의 이슈도 많이 해소된 것으로 보입니다.
티스토어는 그간 국내 앱스토어의 초기 발전에 기여를 많이 한 것은 분명한 것 같은데, 티스토어 앱 자체가 무거워지는 경향과 Open Market을 지향한다고 하나 기존의 Walled Garden DNA 잔재로 유저들의 선호도가 계속 떨어지는 것 같아 같아 참 안타깝습니다. 그래도 당분간 결제의 용이성으로 유료앱 개발사의 외면은 어려울 것 같은데 어떻게 위기를 극복할 지 궁금합니다.
살면서 랭킹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무시하고 있지만 우리는 모두 랭킹이 있습니다. 우리가 다니던 학교도 서열이 랭킹으로 있고, 그 안에서는 한 명 한 명이 성적으로 랭킹이 있고. 한국 축구도 FIFA 랭킹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올림픽도 4년에 한번씩 종목별로 랭킹을 매기는 개인별 경쟁과 그 메달의 합을 더해서 산정하는 국가간의 랭킹으로 볼 수 도 있습니다. 싸이도 빌보드 2위라는 랭킹이 있고…국가도 기준이 GNP든 인구던 군사력이던 랭킹이 있습니다.
랭킹이 곧 개인과 조직의 소위 말하는 SPEC의 가장 CORE이고, 자세히 모르는 사람과 조직의 평가의 절대적인 기준일 것이고 평가의 기준이 중요한 것은 그것을 기준으로 선택하기 때문이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랭킹에 들기 위하여 노력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게 넘버원이던 넘버쓰리건..
따라서, 우리가 속해있는 이 모바일 생태계에서도 생존을 위하여서는 랭킹을 관리할 수 밖에 없고, 랭킹을 어떤 원리로 산정하는지를 잘 이해하여야 잘 관리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출시 전부터 내가 출시할 마켓의 랭킹 원리를 잘 이해하여야 될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