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케이팩토리의 향후 방향성

5월 12, 2012

티앤케이팩토리입니다.

분명한 방향성과 나름 개똥철학을 가지고 시작하기는 했으나, 막상 회사를 운영하다 보니 현실적인 문제와 conflict가 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회사의 Core와 관련 없는 일에 단기 수익 창출을 위하여 Resource를 투입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고, 시장을 대응하기 위하여서 초기 운영 철학과 다른 형태의 BM으로 진행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정말로 서비스를 좋게 만들고 싶은데, 준비가 미비한 상태에서 서비스를 출시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희도 이를 반성하고 있으며, 오늘은 저희 방향성을 공개하여 저희의 방향성을 보다 분명히 하고자 합니다. 저희는 저희가 정한 Main Mission을 저희가 달성할 수만 있다면, 많은 파트너사들이 저희를 좋아해 주실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1. TnK Factory의  Main Mission 

– 파트너 회사의 서비스 수익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킨다.

– 파트너 회사의 모바일 서비스 프로모션을 최소비용으로 최대효과를 나도록 한다.

– 파트너 회사 서비스의 Global Expansion에 대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2. 이를 위하여 저희가 준비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익화 솔루션 강화 : 현 PPI 솔루션을 보다 최적화하고, 추가적인 수익화가 가능한 솔루션이 SDK에 탑재된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현재의 어플리케이션 수익 구조에서는 IAP로는 수익성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수익화 못하는 95%의 무료사용 고객 대상으로 고객의 사용경험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면서 수익화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 Cross Promotion 기능 제공 :  상호 합의된 회사간에 Cross Promotion을 지원할 것입니다. 즉, 당사의 솔루션을 탑재하시면  원하는 회사와 서로 상호 서비스를 광고에 노출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다양한 프로모션이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플랫폼 사용에 따른 어떠한 제약도 없으며, 비용도 없도록 하겠습니다. 매체사는 저희 플랫폼을 통하여 광고 수익을 창출하실 수도 있고, 제휴사와 크로스 프로모션을 통해 다운로드를 증가시키실 수도 있습니다.

– 자체 프로모션 툴 고도화 : 자체 Promotion을 보다 잘 하실 수 있도록 기능을 업데이트 할 것입니다. In-house Promotion기능을 잘 활용하고 계시는 회사들이 있는데요, 이를 더하여 Featured App Promotion과 Push 기능을 제공하여 저희 플랫폼을 통하여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프로모션하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Abusing 최소화 :  광고주에게는 Abusing 이슈가 최소화되도록 Engagement 상품을 보다 고도화하겠습니다.  저희는 저희 미션을 단순 광고주 서비스의 다운로드 수를 늘리는 것으로 생각하지 아니합니다. 이러한 상품은 한계가 분명합니다. 보다 고객분들의 Involvement를 늘리고 실제 광고 후 광고주의 ARPU가 늘어나는 상품을 만들겠습니다.

– 해외 진출 지원 :   플랫폼을 글로벌 플랫폼으로 확장시키겠습니다. 단순 현지에서 사업을 벌리기 보다, 국내 저희 제휴사들이 가장 효율적으로 기 창작된 국내의 좋은 서비스를 해외로 Copy-Modify-Launch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습니다. ( 이건 상반기가 아니라 금년 내입니다. )

 

3. 그리고 저희 전화번호를 공개합니다. 070-8837-0752입니다. 기존 나름 신비주의 모드를 이제 포기하고 보다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합니다.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주시고 저희가 이렇게 못하면, 주저하지 마시고 질책하여 주세요.

 

 

광고

티앤케이에서 운영하는 애즐 iOS 런치!!

2월 26, 2012

안녕하세요

안드로이드 기반에서 진행하던 TnK Ad 솔루션이 iOS 기반으로 확산 진행 중입니다. 검증 도중에 앱스토어의 개인정보 이슈가 터져서 저희도 많이 늦어졌는데요, 기존에 통과시켜 주던 전화번호 인증 및 개인정보에 대한 사항들이 많이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애플은 참 특이한 회사랍니다.

앱스토어,애즐

TnK Ad 플랫폼은 저희가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방식이 아니라 오픈 플랫폼으로 협업하는 것을 지향하기 때문에, 애즐 런치는 SDK의 형태로 공개하기 전에 Interim의 형태로 봐 주시면 될 것 같으며, 애즐을 중심으로 다양한 Test 및 검증 과정을 마치고 각 협력사에 협업 소프트웨어 Kit와 메뉴얼을 곧 Release할 예정입니다.

그 이전에 저희 내부에서 충분한 Stress Test를 진행할 예정이며, 저희가 내부적으로 만족할 수준에 도달하면 SDK 형태로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저희가 플랫폼은 개방형으로 운영하면서 정작 TnK Ad 플랫폼 프로모션은 폐쇄적으로 운영한다고 말씀해주시는데요, 사실 iOS 솔루션까지 기다린 측면이 있습니다. 저희는 이제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티앤케이를 치면 대구에 있는 티앤케이 미용실이 나온다고 일 좀 하시라는 분도 계시고요…..

사실 이 블로그 또한  국내에서 키워드 검색이 잘 되는 네이버가 아닌 절대 안되는 wordpress를 쓴 이유가 있었습니다. 국내에서는 회사의 내공보다 대외적인 펌프질이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은데 저희는 대외적인 이미지가 아닌 저희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로 평가받고 싶었습니다.  꼴깝떠는것은 아니고 제가 이전 큰 회사 다닐때 모바일쪽 서비스를 셋업부터 정리까지 하면서 사업의 본질보다 펌프질만 하면 어떻게 되는지를 크게 배운게 있거던요.

아이폰 SDK가 Release되게 되면 현재 저희와 협업중인 고객분들 외에 개인개발자들에게도 저희를 알릴 수 있는 프로모션 등 IR을 계획하고 있고요,

무엇보다도 기존 개발사 및 광고주들에게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시스템의 Upgrade를 진행 할 예정이고요, 여기에는 타게팅 외에도 각종 첨단 모바일 광고 기법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깜짝 놀라시도록  저희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여러분의 앱 – TnK를 활용하여 수익창출하는 방법

1월 15, 2012

안녕하세요

새로운 서비스를 런치하는 것이 할 일이 참 많습니다. 설명도 해야하고 제휴도 해야하고, 시스템도 계속 업그레이드해야하고 정산도 해야 하고…저희만 그런것은 아니겠지요? 덕분에  2011년 연말에는 각종 망년회 참석이 현저하게 줄었습니다.

티앤케이의 미션이 주로 무료로만 사용하시는 고객분들의 수익화인것은 다들 아시지요? 최근 완전 대세로 자리잡은 F2P IAP ( 이것이 무료게임 후 인앱구매로 수익을 올리는 앱이라네요. 어렵지요..Free to play, in app purchase )를 피해가기는 어려울 것 같고 이를 오히려 적극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솔루션입니다.

10% 유료고객도 중요하지만 90%의 무료고객에서 수익이 나온다면 좋겠지요? 그럼 티앤케이 솔루션을 탑재하면 수익이 얼마나 나오냐고요?

결론적으로 저희와 같이 진행한 매체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1달 기준으로 최소 5만원에서 1500만원까지 창출이 가능합니다. 당사를 통한 매출도 앱의 Traffic과 Item의 효용성을 기준으로 나옵니다. 대략 유료매출의 10%~20%가 추가로 창출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기준으로 1달 1000만원 이상 매출 발생한 앱은 2개 정도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이 힘들게 기획하고 개발한 앱에 TnK(티앤케이)를 탑재하여서 수익을 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시켜 드립니다. 조금만 기획단계에서 고민하신다면 오히려 생각보다 손쉽게 앱에서 생각하지도 아니한 수준의 수익이 나올 수 있습니다.

1. 아이템 구매용 포인트 충전

–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기존 고객이 현금을 주고 구매하던 포인트를 광고를 다운 또는 실행/가입 등 광고주가 원하는 액션을 하면 고객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 기존에 포인트를 구매하지 아니하는 계층이라고 하더라도 그분들도 항상 유료 아이템을 가지고 싶어하시는데, 90%는 결국 구매 없이 게임을 삭제합니다. 만약 현금 결제 없이 광고앱 2~3개를 다운 받고 1000원 상당의 아이템을 확보할 수 있다면 이분들은 어떻할까요? 많은 분들이 광고 다운 후 유료 아이템을 사용해 보신답니다. (여기서 개발사에는 1000원상당의 매출이 발생합니다. ) 또한 유료 아이템을 통해 새로운 게임경험을 하신 고객은? 재미있게 사용하신 분은 유료 아이템의 구매로 이어지고 앱 자체의 ARPU가 획기적으로 개선됩니다.

2. Lite Version -> 프로버젼 업그레이드

– 아직 많은 게임이 무료 버전과 유료 버전으로 구분되어 마케팅 및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중 Lite Version을 통하여 고객에게 무료로 사용을 경험하게 하고 이를 유료 버전 구매로 유도하는 방법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고객은 무료버전만 쓰시다가 유료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유료 구매는 커녕 캐쉬 유도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탈퇴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 동 경우, 광고를 몇개 이상 보시면 프로버젼으로 업그레이드 하여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동 방법은 프로버젼의 가격이 2,000원 수준이 가장 적당합니다. 티스토어에서 Dead or Angel 을 다운받아서 검토하여 보세요.

3. 아이템 지급 방법

– 광고를 보면 포인트 충전이 아닌 아이템을 직접 지급하는 방법입니다.  갬블류의 경우 게임머니 충전이 이러한 방식이고, 게임에서 활용되는 특정 아이템을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 최근에 예를 들면, 저희가 무료 문자를 충전해 주는 프리티콘이라는 앱을 이러한 방법으로 출시하였는데, 결론적으로 한달 매출이 7백만원 정도 발생하였습니다.

– 동 앱은 저희가 Global Market에 무료문자 충전 없이 출시하여 50만 이상의 다운로드가 나온 앱인데요, 배너 매출이 몇개월 합하여 100만원도 안나와서 실망하고 있었는데…. 여기에 간단한 아이템(무료문자)를 추가하고 이를 티앤케이 솔루션을 적용함으로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었습니다. 마켓에서 프리티콘을 검색하여 검토해 보세요. 죽은 앱 다시 살릴 수 있어요

무료문자 - 프리티콘(프리문자+이모티콘) 스크린샷1

4. 수익 극대화 방법

– 그럼 티앤케이를 통하여 수익이 많이 나는 앱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1) 최우선으로 앱의 사용이 활성화되어 있고 제공하는 아이템이 효용성이 있어야 합니다.

– 아무리 좋은 앱도 사람들이 안쓸경우 수익이 나오기 힘들겠지요? 또한 광고를 보고 주는 아이템이 효용성이 없을 경우에는 고객들이 실망하니 아이템 선정도 신중히 진행하여야 합니다.

2) 충전소의 위치가 명확하고(크기가 크고), 무료 충전소의 위치 및 안내가 명확하여야 합니다.    고객들이 충전소에 들어온 후 현금 결제를 하는 비율은 평균적으로 3%입니다. 97%가 충전소에 들어와서 구매하지 아니하고 나가시는데요, 여기에 무료 아이템 확보 가능한 링크가 눈에 확 띄게 있다면? 카니발 보다 신규 매출이 훨씬 많답니다.

아무튼 추가적인 정보를 원하시는 분들은 tnkad@tnkfactory.com으로 문의를 주시면 저희가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아, 그리고 a. 좋은 앱을 만들셨고 b. 티앤케이를 탑재하신 c. 개인 개발자에게는 티앤케이가 무료로 앱을 프로모션해 드립니다. 적극 활용하세요… 새해에는 모두 대박나세요.


모바일 광고 솔루션의 종류

10월 1, 2011

티앤케이 애드입니다.

저희 광고솔류션이 여러 매체와 광고주들께서 예쁘게 보아주셔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든 서비스의 제일 핵심은 고객이 만족하여 재사용하는 비율인데요, 이 부문에 있어 광고주와 매체분들이 모두 만족하시고 계셔서 감사한 마음입니다.

오늘은 모바일 광고의 종류에 대한 저희의 생각을 정리하여보았습니다.

오늘도 점심시간에 식당에 갔는데 모든 사람들이 대화보다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열씸히 보고 있었습니다. 뭘 보고 있는지는 몰라도 이 집중도 높은 화면이 최고의 광고공간임은 분명하겠지요. 최근 소프트뱅크가 inMobi에 200M 투자를 발표하였는데요, 이는 향후 모바일 광고시장이 지속적으로 큰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 일 것입니다. 이 때문에 수많은 BM을 가진 모바일 광고회사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습니다. 온라인과 마찬가지로 Key Word 광고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앱 개발자가 주목하고 있는 신규 광고BM을 매체(앱개발자)입장에서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LBS 기반의 광고BM은 제외하였습니다.)

첫째 배너광고인데요, 국내에 활성된 된지 2년밖에 안되지만 신규 광고 BM이라고 하기에 어려울 만큼 세상이 빨리 돌아가네요. 국내에서는 T-Ad, Admob, 카울리, 라이브포인트 등이 대표적인 광고서비스 회사입니다. 애플리케이션 상에 배너광고 Space를 제공하고, 광고 클릭에 따른 CPC를 이후 정산하여 받는 구조인데요, 여러분들도 해 보셔서 알겠지만 이 배너광고로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업화하기에는 한계가 넘 많습니다. 물론 앵그리버드와 같이 아주 대규모로 깔리고 사용빈도가 높은 앱의 경우 상당액의 수익을 창출합니다만, 많은 개발자 분들은 하기의 표와 같이 1달에 10만~15만원 벌기가 어려운 실정이지요. 하기는 15만 이상 다운로드되어 Active 사용자가 10만 정도인 앱에 애드몹 광고를 게재한 Case입니다. CPC의 형태로 잘 못 누른 경우가 많아 저는 솔직히 배너광고는 광고주와 매체 모두에게 만족을 못 주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둘째, Value Exchange 형태의 PPE(Pay per engagement) 광고입니다. 아직 국내에 활성화되지 아니한 시장이나 급속하게 확산될 전망입니다. 게임 또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최근 많은 게임회사가 무료 다운로드에 유료아이템 판매로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인데, 문제는 아직 유료 아이템 구매율이 매우 낮다는 점입니다. 이는 고객이 무료게임 내 유료로 지급하는 것에 대한 지불의향이 낮아서라고 보이는데, 광고주가 원하는 액션을 고객이 수행함으로서 게임 내 사용 가능한 유료 아이템을 고객이 확보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고객이 수행하는 액션은 어플 다운로드, 비디오 시청 등이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Tapjoy,Flurry 등 주요 회사가 있으며, 유럽에도 Sponsorpay라는 회사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국내에는 TnK Factory가 있습니다.

셋째, 미국에서 현재 성업중인 Pay per lead의 개념입니다. 앱 내 페이지 중간중간에 광고가 들어가고 광고는 주로 Sign-up을 하는 광고의 형태입니다. 광고주는 무료 회원 가입, 이메일 수신을 유도하고 이를 고객이 진행하였을 경우 쿠폰을 발행하는 형태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온라인 시장에서는 P2P싸이트에서 무료충전소에 많이 나오는 광고 유형입니다. 보험회사에 개인정보 등록하면 기프트콘 보내주는 형태인 것이지요.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광고가 1) 스테이지 변경 시 2) 다운로드로딩 시 등 앱 내 페이지 이동 시 나타나도록 함으로서 광고의 집중도를 높이고 고객의 Engagement를 강화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어 저희도 유심히 관찰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개드린 광고 BM은 형태는 매체입장에서는 Pay per engagement로 동일한데 조금 더 독특한 형태입니다. 게임회사들의 경우 다운로드나 가입만큼 리텐션도 중요한데요, 미국의 신생 벤쳐 모바일 광고회사의 Kiip경우, 고객이 게임의 한 스테이지를 완료하였을 때 광고를 팝업시켜 주고 고객에게 보상을 하여 주는 방법의 광고 모델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경우, 게임에서 성공적으로 미션을 완수하였을 경우 보상형 광고가 노출되어, 고객도 기분 좋은 상태( 스테이지를 깨고 잠깐 휴식 단계)에 광고를 노출하여 집중도도 높이고 보상도 받는 다은 개념입니다. 게임업체가 각 미션 완수 시 고객에게 보상제공할 수 있어 나쁠 것 같지는 아니한데, 문제는 광고주가 고객에게도 보상하고 앱개발사에게도 보상하여야 하는 이중 지급 구조라서 비용에 대한 감당이 될 지 모르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Sephora, popchips, Sony Dash, Vitamin Water, GNC 등 많은 광고주를 확보하였다고 하니 재미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 외에도 수많은 모바일 광고 BM이 계속 나오고는 있습니다만, 최근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광고로 수익을 창출하려고 하고 광고주의 예산이야 항상 정해져 있는 것이라 분명히 수많은 모바일 광고 BM은 실패할 것이고 따라서 살아남는 모바일 광고 BM이 무엇이 될 지 참 궁금합니다.

우리가 지상파에서 드라마를 볼 때는 무료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사실은 무료로 보는 대신 광고를 보는 것인데요, 모바일 광고 BM도 고객도 수용 가능하고 매체도 수용가능하고 광고주도 수용 가능한  지상파방송의 광고모델 같은 형태가 무엇이 될 지 참 궁금합니다.

다음번에는 광고 외 애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