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모바일 서비스와 고전하는 모바일 서비스의 차이. 오직 재사용율..

4월 20, 2014

안녕하세요

티앤케이팩토리입니다.

크로스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으면서 가장 어려운 것은 같이 프로모션 진행한 서비스가 고전할때입니다. 특히, 그 서비스가 회사의 주력일 경우일 경우 저희도 많이 당황하게 되는데요, 데이터로 확인하면 성공하는 서비스와 어려움이 있던 서비스의 차이는 고객 유지율(리텐션)입니다.

 

–       변화하는 모바일 서비스 게임의 법칙

스마트폰 시장 초기 속도전 위주에서 이제는 한방 있는 Well-Made 전략 서비스 출시로 변화된 것이 확실하게 느껴집니다. 한 개의 서비스만 성공하면 회사의 퀀텀점프가 가능합니다.

애니팡2,아이러브커피,쿠키런 놀랍습니다. 카카오톡도 사실 하나의 앱 서비스이지요. 이들의 공통점을 기업가치를 만드는 서비스가 여러 개가 아니라 한 두개 정도라는 것입니다. 100여개의 게임라인업을 가지고 있는 전통의 게임빌보다 단 3개의 게임을 가지고 있는 선데이토즈가 기업가치가 더 높은 시대입니다. ( 금일 기준 5208억 vs 4500억 )

이미지이미지

 

–       다양한 지표를 제고하는 2차 플랫폼 간 경쟁 시작

이러한 변화의 추세로 인하여, 개발사의 개별 서비스의 집중도는 더 높아졌습니다. 이러다 보니  개발사들이 다양한 지표 관리를 시작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고 이러한 지표관리가 시작되면서, 그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2차 플랫폼간의 경쟁도 최근 막 시작되었습니다.

– 기존에 클릭율/컨버젼 등이 주요 관리지표로 커뮤니케이션 하였다면 최근에는 리텐션, 퍼널, 매출분석, 코허트분석등 다양한 용어가 사용됩니다. 저희도 T-MAT이라는 상품이 있고 시장내에서 파티트랙, 애드브릭스 등이 있으며 최근 미디어랩도 유사한 서비스를 출시하였습니다. 기능적으로는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분석툴과 광고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툴로 나누어집니다.

 

–       가장 중요한 지표는 리텐션. 리텐션 나쁘면 다 좋아도 제한적 성공. 어디서 빠지는 꼭 확인해야

여러 지표를 관리할 필요는 있겠지만( 분석툴 회사가 자랑하는 많은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 저희가 관찰한 서비스에서 전형적으로 성공한 서비스와 아쉬운 서비스에 대한 가장 큰 지표 차이를 뽑으라고 하면 리텐션입니다. 다양한 지표관리는 리텐션 지표부터 잡고 고민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신규 고객을 유입시켜도 그냥 빠져나간다면 필패하는 게임을 하시는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KPI를 리텐션 지표를 먼저 잡으셔야 합니다. 우선 단기 리텐션을 잡고 이후 라이프싸이클을 늘릴 수 있어야 합니다. 리텐션은 퍼널지표를 통해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실 수 있습니다.

 

–       성공하는 서비스의 전형적인 시장 진입 전략

가장 상업적인 게임을 예로 든다면 성공하는 게임은 게임 활성화되기 위하여서는 우선 가장 빠른 시일 내에 일 DAU 3~40만/WAU 8~100만/ MAU 1.5~200만을 만듭니다. 초기 DAU 30만 이상 확보가 어느 정도 성공하는 서비스의 기준으로 보입니다. 이 정도가 되면 천천히 TOP GROSSING에도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이미지

왜 30만이 중요하냐 하면 이는 서비스 리텐션이 되어야 가능한 숫자이기 때문입니다. 통상 1일차 재방문율 50%, 7일차 재 방문율 20% 정도의 고객 반응이 있어야 합니다. 막상 초기 열었는데 1일차 방문율이 10% 이하 수준이라면 성공할 확률이 없는 서비스라고 보시는 것이 확률적으로 타당합니다. (오가닉 기준, 프로모션 경우 약간 틀립니다. )하루 10만씩 NRU가 들어와도 9만이 내일 빠져나가기 때문에 DAU 30만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숫자가 됩니다.

 

–       부진한 서비스의 전형적인 부진 사유 – 리텐션 실패

좋은 서비스였지만 생소한 분야라서 초기 고객이 빠져나가서 DAU를 쌓지 못한 사례입니다. 그러다 보니 프로모션을 하면 DAU가 올라가고 프로모션을 중단하면 DAU가 빠지는 구조입니다. 리텐션은 대략 10% ( 프로모션 기간 중에는 5%)가 나왔는데, 이 경우가 정말 애매한 상황입니다. ( 캐쥬얼 게임의 경우, 사람들이 모이면서 각종 지표가 확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적절한 비유일지는 모르겠지만 포카치다가 정말 오랜만에 A투페어 잡았는데, 상대에게 밟힐 것 같기는 한데 죽지 모르고 따라가다가 힘들어지는 형국입니다. 확인하고 싶은 것이지요.

이럴 경우에는 프로모션의 SIZE는 조금 줄여서 각종 지표를 확인하고 왜 그런지 개선되었는지 확인하고 본격적인 프로모션이 되어야 합니다.

이미지

이렇듯 성공하는 서비스의 가장 비교우위 요소는 리텐션이고 리텐션의 기본은 서비스의 퀄리티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생각하는 퀄리티랑 내 고객이 생각하는 퀄리티랑은 좀 차이가 수 있고 고객이 나에게 정확하게 말은 안 해주지마 퀄리티를 점수로 평가하여 주는 것이 리텐션 지표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이 원론적인 이야기임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누구는 리텐션이 중요한지 몰라서 그러냐..사람들이 계속 안 쓰는데 정확히 내 게임에서 뭘 바꿔야 하냐고 물으신다면 저희도 사실 답이 없습니다. 퍼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이 어디서 빠져나가는지를 확인하고 지속적인 A/B 테스트가 이루어져서 고객이 빠지는 구간을 개선해야 합니다.

 

서론에서 게임 3개의 선데이토즈가 시가총액 5200억이라고 설명드렸는데  그리 놀랄 일도 아닙니다. 리텐션이 좋은 모바일 서비스는 라이프싸이클도 길기 때문에 지속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애니팡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좋은 리텐션을 가지고 있는 게임일 듯 합니다. DAU가 3백만이라고 하니까요..세계시장에서만 성공한다면 5200억도 그리 큰 금액이 아닐 것입니다. 유사한 회사인 캔디의 킹사는 5_7조입니다. 지도상에서 한국은 조금 과장하면 하나의 점인데(점하나 찍으니 나라 전체가 가려집니다. ), 캔디의 킹사처럼 글로벌 플레이만 되면 기업가치 10조를 바라보는 우리나라 모바일 회사도 곧 나올 것으로 저는 믿습니다. 못 할 이유가 없거던요.

이미지

 

광고

애니팡2 표절 논란과 최근 확산되는 앱간 크로스마케팅 ( 무료 앱 크로스마케팅 )

1월 18, 2014

티앤케이팩토리입니다.

오랫만에 블로그 포스팅 드립니다.

1. 모바일 게임 표절 논란

애니팡2의 출시로 국내 모바일게임사의 외국게임 COPY에 대한 논란과 기사가 매우 많은데요,  이곳 블로그에서 동일 회사 동일 이슈 건에 대하여 2012년 9월에도 포스팅한 바 있습니다.

새로운 이슈는 아닙니다만 국내 대표 모바일 게임 상장사의 모두 기대한 게임이라서 논란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S사의 신상 핸드폰 출시를 잔뜩 기대하고 기다렸는데, A사 것 브랜드만 틀리고 거의 유사한 느낌이랄까..거기는 운영체계가 틀려서 뭐 변명의 여지는 좀 있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논란되는 회사의 고충과 의사결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회사의 존폐를 두고 욕먹을 정도로 크게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아니합니다. 단지 아쉽고 부끄러울 뿐이지요.

스마트폰으로 모바일게임 세계에 입문 후, 게임을 다운받고 초기 투토리얼을 할 때 제가 가지는 느낌은 아마도 다른 분들이 신상핸드폰이나 아이패드 개봉하는 기분이랑 비슷할 텐데요,

제게 잊을 수 없는 감동을 준 게임이 2개 있으니 하나는 캔디크러사가이고 다른 하나는 COC입니다. 둘 게임 모두 COPYCAT 논란이 있지요. 새롭고 놀라우며 다른 회사들이 따라하게 만드는 능력…또한 모바일 게임도 오래할 수 있다고 보여 준 그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우리나라 회사가 아니라서 아쉬울 뿐입니다.

clash-of-clans        캔디크러쉬사가 로딩

2. 앱 간 크로스프로모션 활성화

최근 크로스프로모션이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쿠키런에서 크로스프로모션하면 상대 서비스 NRU가 최소 일 20만이 늘어난다고 하지요..크로스프로모션은 여러모로 강력한 프로모션의 수단입니다.

그래서 티앤케이팩토리가 2013년 1/10일부터 자사간/타사간 크로스프로모션 플랫폼을 제공하여 드립니다.

자사 게임간 크로스프로모션이던 타사와 크로스프로모션이던 상관없이 플랫폼을 모두 무료로 제공하여 드리며, 분석 및 트래킹 툴과 연계하여 보다 강력한 기능을 무료로 제공합니다.저희는 그저 잘 적용되는지 승인만 처리하며, 모든 통제권은 개발사에게 제공됩니다.

크로스프로모션이 확산되면 저희 매출은 조금 떨어지겠지만, 앱개발사의 수익창출 여부가  곧  저희 생존의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잊지 아니하고,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습니다.

오늘은 아직 저희 플랫폼을 사용하시지 아니하신 개발사 및 개발자 분들을 위하여 자세히 안내 드립니다. 이하는 저희 크로스프로모션 플랫폼에 대한 설명입니다.

앱 크로스프로모션은 뭔가요?

자사 모바일 서비스와 타사 모바일 서비스 간 상호(크로스) 노출을 통하여 양 서비스 고객 POOL을 모두 증대시키는 WIN-WIN도모하기 위한 상호 광고를 영어로 한 말입니다. 예) A for Kakao와 B for Kakao는 모두 일정 수준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에서는 B를 노출하여 A 고객의 B 사용을 유도하고, 동시에 B에서는 A을 노출하여 양 서비스 모두 사용자를 늘릴 수 있습니다. 앱을 실행 시 상대방의 광고를 보여주는 예입니다.

세로형 크로스 전면

크로스프로모션 하려면 뭐가 필요한가요? 

필요요소

TNK는 가장 효율적이고 정확한 크로스프로모션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1) 매체가 수량/일정을 직접 설정 및 통제 가능하고 2) 상호 동일한 기준으로 효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리포팅합니다. 3) 이 모든 것은 무료로 제공되며 추가로 앱의 분석까지 제공합니다.

즉, 타 개발사에 제공 가능한 트래픽만 창출 가능한 서비스만 만드시면 다른 사항은 저희가 다 지원하도록 하겠습다.

TNK에서 제공하는 크로스프로모션은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떻게 표시되나요?

크로스프로모션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전면화면을 활용한 1:1 크로스프로모션

– 이러한 1:1 크로스프로모션은 양사가 단기간 내 집중적으로 상호 가입자를 유치할 수 있게 합니다. 앱을 실행하면 하기 그림처럼 다른 서비스의 전면 광고가 노출됩니다.

가로형 전면 크로스

2) 오퍼월을 활용한 N:N 크로스프로모션

– 여러 서비스와 상호 크로스프로모션을 동시에 진행합니다. 내가 두 개의 서비스를 프로모션하면 두개의 서비스에 내 서비스가 노출됩니다.

오퍼월 크로스

적용하는 것이 너무 어려울 것 같아요!! 절대 아닙니다!!

– 크로스프로모션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프로세스는 매우 간단합니다. TNK와 협력하시는 여러분들의 실력이라면 1시간 내에 적용까지 완료하실 수 있습니다.적용이 어려우시다면 저희가 지원하여 드립니다.

1)    TNK에 계정가입을 합니다. ( http://www.tnkfactory.com  )

웹페이지로그인화면

2) TNK SDK를 탑재합니다. SDK는 로그인하면 우측 상단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SDK 탑재 시 다음과 같은 셋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개발진 분들은 링크를 클릭하셔서 적용 가이드를 참조하여 주세요.

기 1634개의 앱에 SDK가 탑재하였으니 여러분도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SDK 다운로드

3) SDK 탑재를 하면서 기능을 구현합니다. 모두 구현하시면 나중에 잘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a. 광고 집행 및 게시를 위한 SDK 기능이 탑재되어야 합니다. 이는 실행 또는 특정 액션 시 실적을 확인 하기 위함입니다.

 https://sites.google.com/site/tnkadsdk/tnk-incentive-ad ( 보러가기 )

b. Interstitial 기능이 탑재되어야 합니다. 이는 특정 시점에 전면 노출이 가능한 광고를 띄어주기 위함입니다. 상기 1:1 광고 시에는 꼭 필요합니다.

  https://sites.google.com/site/tnkadsdk/tnk-interstitial-ad ( Interstitial 구현 보러가기 )

c. 앱 분석 및 트랙킹 셋팅

 https://sites.google.com/site/tnkadsdk/analytics-reporting

클릭하여 이동하시면 자세한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개발지원센터

3) SDK 탑재가 완료되면 로그인하셔서 크로스 프로모션을 셋팅합니다.

  

크로스프로모션 셋팅 방법

 1) 크로스프로모션 셋팅을 합니다  

a.     메뉴 상단 CROSS를 클릭하여 크로스하고자는 내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물론 상기 설정이 완료된 상태라고 가정합니다. )

크로스탭

b. 매체추가를 통하여 내 서비스와 크로스프로모션이 예정된 서비스를 검색합니다.

검색이 안될 경우 상대 서비스 담당자에게 CROSS 검색 허용 세팅을 요청합니다.

프로스프로모션 셋팅 페이지

c. 상대가 검색될 경우  요청수량을 기입하고 크로스 신청을 클릭합니다.

크로스매체검색 크로스 요청 수량 기입

d. 상대가 크로스프로모션을 승인하면 승인이 완료됩니다. 상대도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CROSS를 신청할 경우 승인하여 주셔야 양사간에 크로스가 진행됩니다.

 크로스요청 승인 

  

2) 광고 셋팅을 합니다.

 a. Advertising을 클릭하여 필요한 설정을 합니다.

– 연결마켓,일정 등 기본 정보를 셋팅합니다. 크로스의 광고 단가는 300원을 기준으로 합니다.

– 전면으로 크로스프로모션 진행을 원하시면 전면광고 사용을 체크하고 광고 소재를 등록합니다. 광고소재는 가로 및 세로로 구분하여 등록합니다.

– 광고를 위한 셋팅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광고등록

b. Publishing을 클릭하여 필요한 설정을 합니다.

a) 게시 셋팅을 진행합니다.

– 광고 설정 시 크로스 검색 허용을 누릅니다. 검색을 허용하여야 상대와 크로스프로모션을 할 수 있습니다.

– 포인트 이름 및 100원 당 지급할 아이템을 기입합니다. ( 보상형의 경우 )

– 전면 광고에 사용될 프레임을 선택합니다. 프레임은 템플릿을 사용하거나 게임 UI에 최적화하여 직접 제작할 수 있습니다.

– 전면 광고가 어떻게 고객들에게 보여질 것인지 선택합니다

프레임

프레임에 따라서 광고가 고객들에게 틀리게 노출됩니다. 내 서비스에 가장 최적화된 프레임을 선택하거나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에 최적화된 프레임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양한 프레임 

b) 전면 광고 로직을 설정합니다.

– 전면 광고 로직에서 전면광고를 언제 어떤 광고를 보여줄 지 선택합니다. 전면 노출 시점은 SDK 탑재 시점에 기 Code가 탑재되어야 합니다.

https://sites.google.com/site/tnkadsdk/tnk-interstitial-ad

– 특정 시점에 나갈 전면광고의 기간/종류 빈도를 설정합니다. 기간이 종료되거나 수량이 종료되면 자동적으로 종료됩니다.

전면로직 셋팅

이로서 크로스프로모션에 필요한 모든 준비가 완료 되었습니다.

잘 모르시겠다고요? 그러면 저희에게 메일을 보내주시거나 유선상으로 연락을 주시면 저희가 책임지고 지원하겠습니다.

기 2000개 이상의 앱에 쉽게 적용된 SDK입니다.

하루만 저희에게 안내 받으면 앱 마케팅의 새로운 옵션을 확보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를 믿어보세요!!

항상 여러분을 응원합니다.